본문 바로가기

SMART BRAIN

전 세계 검색엔진(search engine) 점유율 (feat. 덕덕고(DuckDuckGo))

반응형

사실 구글제국이라고 불릴만큼 전 세계를 무대로한 검색엔진의 경쟁전은,

구글의 독무대 수준으로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.

그냥 어느정도 인지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찾아보았다.


각종 IT관련 통계를 제공하는 스탯카운터(statcounter)의

전 세계(Worldwide) 검색엔진(Search engine)의 점유율(Marketshare)은 (2017년 9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기준)


구글(Google) 92.74%, 야후!(Yahoo!) 2.32% 등등...


어떤 기준으로 산출한 것 인지는 몰라도, 

중국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바이두가 한자리 대 점유율도 안된다는 것,

윈도우즈와 세트로 딸려가는 bing 조차도 2.17%에 그쳐있다는 것을 보니 크게 유의성이 있어 보이진 않았다.


어찌됐건, 웹상에서 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것이 구글이라는 것은 변함이 없으니까.

혹시 잘못 서치된 것이라면 그 이유를 댓글로좀....




어찌되었건, 그곳에 눈에 띄는 뉴페이스가 하나 있었는데.


DuckDuckGo....

DuckDuckGo....???

덕덕고??


# 덕덕고(DuckDuckGo) https://duckduckgo.com/



덕덕고(DuckDuckGo)의 셀링포인트는 귀여운 오리가 아니고, 개인정보를 절대 수집하지 않는다는 것.

하루가 멀다하고 개인정보가 털리는 상황때문에 사용자가 조금씩 늘어나,

이제는 구글을 위협하는 검색엔진 중 하나로 언급될 정도라고 한다.


개인정보도 개인정보이지만,

절대 추적이 없다면...

없다면... 혹시...?


같은 맥락인지는 모르겠는데,

검색결과 자체도 훨씬 더 적나라(?) 하다.

추적이 없어서 그런가...


나도 한참 전 부터는, 정보 검색을 위해서는 네이버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.

구글에 비해 폐쇄적이고, 결과가 가공되는 수준이 너무 높기 때문에 양질의 정보를 얻기가 힘들기 때문이다.

그런 면에서 덕덕고는 어쩌면 구글보다 좋은 결과를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기대도 해본다.

이름도 꽤 정감있지 않은가. 덕덕고.



반응형